꽃이지네 사랑도 지네
꽃이지네 사랑도 지네
봄날 한번 요란하다. 덥다가 춥다가, 비 오다 바람 불다.
마누라 왔으니 눈 좀 떠보소, 팔을 흔들어도 꼼짝을 않더구나. 2주일 만에 왔다고 토라진 게지. 멀디 먼 병원에 당신 혼자 내박쳐뒀다고 역정이 나신 게야. 나도 바빴지. 자식 손주들 1년내 먹을 된장 담가야 하고, 무더위 닥치기 전 고구마도 심어야 하고. 요즘 열무가 좀 좋으냐. 해서 한 단지 담아 병원에도 좀 가져오느라 늦었다고 싹싹 빌었다.
그래도 공으로 하는 일 아니니 식기 전에 밥 떠드리고, 말 한마디라도 다정히 건네주면 좋으련만. 그래서 다 쓰러져가는 판잣집이라도 자식새끼 종알거리는 집이 젤로 좋다는 거다. 세상 재미 암만 좋아도 조강지처 치마폭이 젤로 정겹고 따숩다는 거다. 내가 무르팍만 성해도 집으로 모셔올 터인데, 그 낯선 곳에 떼놓고 와서는 미안하고 죄스러워 밤에 잠이 안 온다. ![]()
문자는 곧잘 썼지. 키는 땅딸막해도 반반한 이목구비에 청산유수라 여자들이 좀 끓었더냐. 당장에 달려가 요절을 내고 싶었지만 또 무식한 여편네 소리 들을까 참고 또 참았지. 유식한 서방님 지청구에 늘그막에 공부란 것도 하게 됐지. 고사성어 몇 개만 알면 오가는 말 알아듣겠다 싶어 나이 오십에 한자교실에 등록했지 뭐냐. 녹슨 머리로 당최 못 따라가겠더니 지성이면 감천이요 고진이면 감래라고, 수험생마냥 밤낮으로 외고 또 외웠더니 실력이 일취월장하여 아들 같은 선생님한테 칭찬도 받았지.
문리가 트이니 늦공부가 어찌나 재미지던지. '견리사의(見利思義)' 이익을 보면 의리에 맞는가를 먼저 생각하고,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며,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 만들 듯 어떤 어려운 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니 이보다 좋은 가르침이 있더냐. 우스개 고사성어도 몇 알려주랴? 인명(人命)은 재처(在妻)요, 순처자(順妻者)는 흥(興)하고 역처자(逆妻者)는 망(亡)하느니, 마누라한테 순종하면 복을 받고 거스르면 칼을 받는다는 뜻이란다. 너도 그리 생각하지?
어제는 40대 젊은이가 뇌 쇼크로 쓰러져 들어왔다. 스트레스가 얼마나 많았으면. 최서방한테 잘해라. 남자들은 어리숙해서 작은 충격에도 속절없이 무너지느니. 큰 잘못 아니거든 알아도 모른 척 져주며 살거라. 봄꽃이 처음부터 고왔겠누. 처음부터 달콤한 열매가 어디 있누. 비바람 맞고 나서 더욱 단단히 여무는 것을. 그래 그런가. 미우나 고우나 나는 저 양반 없으면 안 되니 어쩌면 좋으냐. 오늘 밤이라도 훌쩍 떠날까 자다가도 심장이 오그라드니 이를 어쩌냐. 무식한 여편네라 욕해도 좋으니 정신 한번 온전히 돌아와 주었으면. 라일락 향기는 이토록 황홀한데 나의 황혼은 왜 이리 서글픈지. 사랑이 저무니 봄마저 야속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