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맥
동의어 심장 질환 다른 표기 언어 Bradycardia
정의
심장박동이 너무 느린 것을 서맥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느린 리듬의 정의는 나이와 육체적 상태에 따라 정의되나 분당 맥박수가 60회 이하는 주의 깊게 보아야 합니다. 성인의 1분간 맥박수는 보통 60~80회, 즉 평균 70회 전후이나 건강한 사람도 때로는 50회 전후인 경우가 있습니다.
원인
<동방결절 장애>
동방결절이나 그 주위 조직이 섬유화되고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전기자극을 만들어 내는 횟수가 줄어들어 서맥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가지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 후 혹은 약물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나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진단은 증상이 있을 때에 심전도를 찍어 봄으로써 내릴 수 있습니다.
<방실전도 장애>
방실전도 장애는 동방결절에서 만들어 낸 전기신호를 방실전도계의 질환으로 인하여 제대로 심실 내로 전달하지 못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방실전도 차단이라고 하며 차단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서 예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실차단으로 인하여 실신 혹은 실신 전단계의 증상이 있거나 심부전 혹은 협심증을 악화시키는 서맥이 발생하면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하여야 합니다.
진단
서맥성 부정맥의 진단은 우연히 심전도를 찍어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나 맥박수가 40회 이하로 지나치게 내려가면 어지럼증, 심한 무기력증이나 졸도현상이 나타나서 진단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을 위해서 24시간 심전도 홀터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검사 기간 동안 서맥이 발생하면 진단이 내려질 수 있으나, 그 기간 동안 발생을 하지 않으면 진단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치료
약물 치료로서는 대개 급성 느린맥의 경우에는 정맥으로 아트로핀(atropine), 아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을 투여하고 만성의 경우는 경구로 하이드랄라진(hydralazine), 테오필린(theophylline) 등을 투여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증상을 동반한 서맥은 인공심장박동기를 삽입하는 시술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이것은 전극을 정맥 혈관을 통하여 심장 내에 삽입을 시키고 이에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한 조그만한 박동기 기계를 가슴의 피부 밑에 삽입하는 간단한 수술로 이루어집니다. 심장 박동기는 맥박이 너무 느려지는 경우에는 박동기에서 전기 자극을 발생시켜 심장을 수축하게 합니다.
주의사항
일반적으로 부정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알려진 일반적인 생활방식의 개선 외에, 환자가 자기가 가진 부정맥이 유발되는 상황(카페인, 술 섭취, 스트레스)을 알면 그런 상황을 피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의 하나일 수 있습니다.
제공처
'健康 生老病死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일 풀링(Oil Pulling) (0) | 2015.08.08 |
---|---|
오이를 먹어야 하는 12가지 이유 (0) | 2015.07.31 |
심장의 율동과 맥박수 (0) | 2015.07.29 |
명의들이 추천하는 식탁 노인 냄새???? (0) | 2015.07.20 |
여자가 오래 사는 이유 (0) |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