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智慧)
애꾸눈에
외다리이면서 난쟁이 몸을 가진
자존심 (열등감)이 아주 강한
왕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그 왕이 그 나라 제 일의
화가를 불러 자신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습니다.
화가는 왕의 의중을
자기 생각으로 추측하여
다리 둘에, 두 눈에,
보통 키의
정상인의 모습으로 왕을
그렸습니다.
이를 본 왕은
우롱 당한 듯한 모욕감을
느끼고, 그 화가를
처형해 버렸습니다.
다음에 불려온 화가는
먼저 왔던 화가의
운명을 알았기에 현실의 모습
그대로 왕을
그렸습니다.
애꾸눈에,
다리가 하나 밖에 없는
난쟁이가 그려진 그림을 보고
왕은 낙심하고,
그 절망이
분노로 변하여
그림을 그린 화가의 목을
베어 버렸습니다.
세 번째로
불려온 화가는 아무리
이래도 저래도 안 되니
도무지 살아 날 방도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침착하게 심호흡을 하면서
살아날 방도를
곰곰이 생각했고,
결국 그 화가는
왕이 말을 타고
사냥을 하고 있는 옆모습을
그렸습니다.
다리 하나는
말의 반대편에
있기 때문에 보이지 않았고,
총을 겨냥할 때는
성한 사람도
한 쪽 눈을 감기에
이상하지 않았으며,
등을 굽힌 채
말을 타고 있으니
키가 작아 보이지도 않아
자연스럽게
정상인처럼 그려졌습니다.
왕은 이 그림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그 화가에게
큰 상을 내렸습니다.
첫 번째 화가는
사실을 기만하는
거짓을 그려 아부하다
목숨을 잃었고,
두 번째 화가는
첫 번째 화가가 거짓을 그려
죽임을 당했으니
자신은 사실을 그렸지만
자존감이 부족한
왕의 열등감과 트라우마를
헤아리는
혜안의 자비가 없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세 번째
화가는 두 화가의 죽음을 보고
진실을 드러내되
배려가 함께 하는 혜안을
깨우쳐 목숨을 구한
것입니다.
너무 직설적이거나
정 반대로 잔꾀로 가득한
극단적이거나
기만적인 태도 보다
배려 심을 동반한 지혜가
이 세상을 좀 더
따뜻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너무 고지식한 직설도,
배려심 없는 잔꾀도
모두 다
경계해야 할 일인 듯합니다.
= 받은글 =
옛날 초해 왕이
아침을 먹다가
거머리를 발견하자
김치에 싸서 말아 가지고
먹어 버렸습니다.
왜 그렇게 했을까요?
이것을 가지고
나무라면 최소한 요리사로부터
몇 사람이 죽을 테니까
그렇게 한 것입니다.
한 순간의 지혜가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건진 것이지요.
중국에
오패의 초장 왕은
잔치를 베풀어서
신하들과 술을 먹는데
촛불이 꺼지자
어떤 신하가 왕의 애첩에게
입을 맞추자
애첩이 갓 끈을 끊고
"잡아 처벌해 달라"고
왕에게 고하자
지혜로운 왕은 말하길
"여봐라 모두들
갓 끈을 끊으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내시들이 와서
황급히 불을 켜니까 모두의
갓 끈이 없는 것입니다.
여러 해가 지난 후에
한 장수가 나라를 구하고
왕에게 와서
"소인이 예전에
취중에 저지른 실수로
죽을 뻔 했으나
임금님의 자비 덕분에
살았기에 임금님을 위해
생명을 바치기로
하였습니다."고 하였습니다.
죄를 드러내어
벌을 주는 것도 좋지만
덮어 주므로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도 지혜로운
방법입니다.
[출처] 삶의 지혜(智慧)
작성자 kwc4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