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된장보다 라면이 몸에 더 좋아
<식품독성 전문가 (울산대) 최석영교수>
![]() 몸에 안 좋은 음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인스턴트 식품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라면은 자극적이고 나트륨 함량이 많다는
이유로 많이 먹어선 안 될 음식으로 꼽힌다. 그런데 라면이 좋은 식품이라고 주장하는 교수가 있어 화제다.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의 최석영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최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카이스트에서
생물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식품독성 전문가다. 그런 그가 ‘라면은 우리의 몸에 좋은 음식’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며 ‘라면예찬’에 나선 까닭은 무엇일까. ![]() - 어쩌다가 라면에 관심을 갖게 됐나.
▲ 라면은 성질 급하고 국물요리 좋아하고
매운거 좋아하는 한국인들과 궁합이 맞는 음식이다. 우리가 자랑스러워 해야 할 라면을 다들 근거없이
나쁜 음식으로만 생각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그래서 라면을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던 것이다. 원래 전공은 라면이 아니라 식품독성이다. - 라면을 자랑스러워 해야 하다니 무슨 말인가.
▲ 라면은 일본에서 만들어졌지만 중국, 동남아 등에서는
오히려 매콤한 한국 라면이 인기다. 핸드폰이나 자동차도 우리가 최초로 만든건 아니지만
세계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지 않나. 자랑스러워하는게 맞다. ![]() 최교수가 라면을 즐겨먹고잇다 - 라면이 몸에 좋다는 주장의 근거는 무엇인가.
▲ 라면은 열량이 적절하고 우리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가
모두 들어있다. 계란과 파 등을 넣고 김치와 곁들여 먹으면 단백질과 비타민도 보충 가능하다. 나트륨이 함량이 높다고 하는데 따져보면 칼국수보다도 낮다.
그래도 불안하면 스프량 조절하고 국물 다 안 마시면 된다. 면을 튀긴 기름이 안좋다고 하는데 라면공장에서
사용하는 기름은 제대로 관리되기때문에 깨끗하다. 방부제를 많이 쓴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라면의 수분은 4%정도 밖에 안되기 때문에 방부제를 따로 쓸 필요가 없다. 우린 라면에 대해서 많은 오해를 하고 있다.
라면의 창시자 모모푸쿠도 매일 점심에 라면을 먹고도 96세까지 장수했다. 라면예찬이 대단하다. - 라면회사로부터 사주를 받은게 아니냐는 의심도 받을 것 같다.
▲ (웃음)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사람들이 라면에대해 너무 잘 모르고있고 또 무조건 나쁜쪽으로 만 생각하는 것 같아 답답해서 나선 것 뿐이다. - 평소에 라면은 즐겨먹나.
▲ 즐겨먹는 정도가 아니라 집에서도 먹고 연구실에서도 먹고..
5년 전부터 버섯사진을 찍고 다니는 취미를 가졌는데
돌아다니면서 야생초나 버섯을 캐서 라면에 넣어 먹기도 한다. - 된장이 몸에 좋지 않다는 발언을 했던 것으로 안다.
▲ 그렇다. 발효식품은 크게 곰팡이 발효,
균 발효, 젖산 발효로나눌 수 있다. 된장은 곰팡이 발효에 의한 식품이다. 곰팡이가 발효하면서 나오는 물질이 아플라톡신인데
이물질이 된장에 많이 들어있다. ![]() 아플라톡신은 곰팡이가 발효하면서 만드는 독소로
간암을 유발하는 물질 중에서도 아주 강력한 물질로 꼽힌다. 몸에 좋지 않을 수 밖에 없다. 나는 식품영양학과 교수지만 약학과 독성학을 전공해서
이런 것들에 대해 잘 알고 있다. 식품영양학계의 이단아 같다. - 앞으로도 이런 상식을 깨는 강의를 계속할 생각인가.
▲ 기회가 된다면 계속하고 싶다.
다음엔 ‘햄버거는 몸에 좋다’는
주제로 강의를 해볼까 한다. 다들 당연히 햄버거가 몸에 안 좋은 음식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따지고 보면 샌드위치와 별 차이가 없는식품이다. 내 강의를 듣고 학교급식 영양사가 된 제자가
아이들에게 라면을 끓여주려고 한다면 그 학교 교장이 뭐라고 생각하겠나. ![]() 앞으로도 음식에 대한 오해를 풀 수 있도록
계속 강의를 할 생각이다. 옮겨온 글
최석영교수는 서울대 식품영양학과를 나오고
카이스트에서 독성식품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현재 울산대 교수로 있다. 전문가의 새로운 글이긴 한데 ........
라면 헴버거, 된장 내상식과는 다르네요.
|
'健康 生老病死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면역력 높이는 밥상 (0) | 2015.01.23 |
---|---|
혀 의 건강과 세균 (0) | 2015.01.23 |
패혈증 골든타임을 잡아라 (0) | 2015.01.21 |
現代科學이 밝혀낸 無病長壽 7가지 秘訣 (0) | 2015.01.19 |
절대 무시하면 안 되는 건강 위험 신호 (0) | 201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