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계층이동 단절되면 경제위기"..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조
입력 2019.06.29. 11:30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는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서라도 사회적 책임(CSR)을 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부총리는 "초과공급이 이뤄지는데 증산층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다. 경쟁의 격화, 이권추구 사회는 결국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단절을 초래하고 사회적 갈등을 빚게 된다"며 "이 모든 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정치'이고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귀포=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는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서라도 사회적 책임(CSR)을 다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부총리는 29일 제주 서귀포에서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한 '2019 중소기업 리더스포럼' '유쾌한 반란'이란 주제로 폐막강연을 했다.
김 전 부총리는 "과거 절대 빈곤의 삶 속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면 성공할 수 있던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교육'이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고 계층 이동을 단절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거 조선 시대처럼 계층이동이 단절된다면 결국 혁명을 통해 사회를 뒤집어야만 변화할 수 있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며 일부 학자들은 오늘날 계층의 단절 문제가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 곧 경제위기라고 진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초과공급이 이뤄지는데 증산층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다. 경쟁의 격화, 이권추구 사회는 결국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단절을 초래하고 사회적 갈등을 빚게 된다"며 "이 모든 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정치'이고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년 실업과 사회적 계층 이동 문제 등에 대해 기업과 대표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단순히 어려운 사람, 학생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가 잘 돼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 즉 '기업의 생존전략'으로써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點一二口 牛頭不出 (0) | 2019.07.11 |
---|---|
여자란 꽃잎 같아서 (0) | 2019.07.06 |
나의 말과 행동은? (0) | 2019.06.26 |
채우고 싶은 유혹 (0) | 2019.06.19 |
이어도(離於島) (0) | 2019.06.18 |